본문 바로가기

2025.03.24

ⓒ전자신문/조재학 기자

개인정보 보호 주무부처인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업계를 만나 딥시크가 촉발한오픈소스AI 생태계에 대해 고민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오픈소스 모델 활용에 따른 개인정보 관련 리스크는 줄이는 동시에 저비용·고성능 AI 모델을 개발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민관이 머리를 맞댄 것이다.
개인정보위는 24일 오후 서울 강남구 스타트업얼라이언스엔스페이스(&Space)에서 AI 스타트업 간담회를 개최했다.

오픈소스는 프로그램 개발 시 필요한 소스코드나 설계도를 누구나 확인할 수 있도록 공개하는 방식을 말한다. 중국의 저비용·고성능 AI '딥시크'가 오픈소스 생태계 전략을 펼치면서 관심이 커졌다. 한국의 경우 대규모 AI 인프라가 부족한 반면 양질의 데이터와 우수한 AI 인력을 보유하고 있어 오픈소스가 새로운 모멘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추가학습, 검색증강생성(RAG) 등을 거쳐 상용화하는 과정에서 개인정보 처리가 수반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국내 AI 스타트업도 오픈소스 활용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이날 간담회에 참여한 10개 기업 대상 간이 설문조사 결과, 6개 기업이 오픈소스 모델에 기반한 응용 서비스를 출시했다. 특히 오픈소스 모델을 자체 보유한 이용자 데이터 등으로 추가학습하거나, RAG을 통해 성능 개선에 활용한다고 답했다.

(후략)

[원본기사 :https://www.etnews.com/20250324000426]

맨 위로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