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 공개메이저 사이트 시장 전망) 2017년 공개메이저 사이트 시장규모는 1,890억 규모로 추정, 2016년 대비 17.9%증가 성장할 것으로 예상
(공개메이저 사이트 고려사항) 공개메이저 사이트 도입시 주요한 고려사항으로 안정성,보안성을 가장 많이 선택
(공개메이저 사이트 활용 장점) SW기업과 Non-SW기업 모두 공개메이저 사이트 활용의 장점으로 비용절감을 가장 많이 선택, 공개메이저 사이트 활용 동기와 일맥상통
(공개메이저 사이트 활용 단점) 공개메이저 사이트를 활용하면서 신속한 지원을 받기가 어려운 점을 가장 큰 단점으로 선택

공개메이저 사이트 시장규모 (2016년~2021년)

국내 공개메이저 사이트 시장은 2016년부터 2021년도까지 6년간 연평균 성장률(CAGR) 16.4%로, 2021년에는 시장
규모가 3,000억을 돌파하여 3,430억 규모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
4차 산업혁명 구현기술(빅데이터, 클라우드 등)에서 공개메이저 사이트 활용이 높아짐에 따라 공개메이저 사이트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국내 메이저 사이트메이저 사이트 시장 규모는 2016년에는 1,602억, 2017년에는 1,890억, 2018년에는 2,170억, 2019년에는 2,520억, 2020년에는 2,940억, 
2021년에는 3,430억 규모로 6년간 연평균 성장률(CAGR) 16.4%을 보이고 있음

공개메이저 사이트 도입 고려사항

공개메이저 사이트 도입 고려사항으로는 안전성,보안성에 대해서 메이저 사이트기업은 59.7%, Non-메이저 사이트기업은 49.4%, 도입비용에 대해서 메이저 사이트기업은 56.9%, Non-메이저 사이트기업은 44.5%, 기존OS와의 호환성에 대해서 메이저 사이트기업은 45.8%, Non-메이저 사이트기업은 33.9%, 업무적합도에 대해서 메이저 사이트기업은 44.4%, Non-메이저 사이트기업은 29.0%, 지속적인 업데이트에 대해서 메이저 사이트기업은 33.3%, Non-메이저 사이트기업은 27.4%,라이선스 정책에 대해서 메이저 사이트기업은 31.9%, Non-메이저 사이트기업은 4.5%, 소스코드 가용성에 대해서 메이저 사이트기업은 30.6%, Non-메이저 사이트기업은 2.6%, 벤더 전문성에 대해서 메이저 사이트기업은 30.6%, Non-메이저 사이트기업은 46.8%, 커스터마이징에 대해서 메이저 사이트기업은 27.8%, Non-메이저 사이트기업은 9.4%, AS 수준에 대해서 메이저 사이트기업은 26.4%, Non-메이저 사이트기업은 19.7%, 메이저 사이트 확장성에 대해서 메이저 사이트기업은 22.2%, Non-메이저 사이트기업은 17.1%, 종속성제거에 대해서 메이저 사이트기업은 16.7%, Non-메이저 사이트기업은 4.5% 로 나타남

공개메이저 사이트 활용 장점 및 단점

공개메이저 사이트 활용의 장점으로 SW기업과 Non-SW기업의 경우 '비용절감'을 가장 많이 선택한 반면, 개인
(개발자)응답자는 '소프트웨어를 다루는 능력의 향상 기회 제공'을 가장 큰 장점으로 인식

단점으로는 메이저 사이트기업과 Non-메이저 사이트기업 모두 '신속한 지원을 받기가 어려운 점'을 선택했으며, 개인(개발자)
응답자의 경우 '일정 수준에 이르기까지가 다루기 어려운 점'을 주요 단점으로 선택
메이저 사이트기업은 소스코드 관리의 어려움, 보안 취약점에 대응 어려움 등 기술적인 부분을 지적

공개메이저 사이트 활용 장점(기업)으로는 비용절감(라이선스,유지보수비 등)에 대해서 메이저 사이트기업은 77.0%, Non-메이저 사이트기업은 76.5%, 자사 엔지니어 기술 능력의 향상 기회 제공에 대해서 메이저 사이트기업은 45.9%, Non-메이저 사이트기업은 8.4%,소스코드를 직접 코딩하여 수정가능한 경우에 대해서 메이저 사이트기업은 41.9%, Non-메이저 사이트기업은 16.8%,전체 시스템 개발 기간 단충에 대해서 메이저 사이트기업은 39.2%, Non-메이저 사이트기업은 8.1%,특정 벤더에 대한 솔루션 종속성 완화에 대해서 메이저 사이트기업은 28.4%, Non-메이저 사이트기업은 35.1%소프트웨어, 솔루션 선택권이 넓어지는 경우에 대해서 메이저 사이트기업은 28.4%, Non-메이저 사이트기업은 24.2%,관련 정보 획득이 용이하여 문제 발생 시 대처 용이한 경우에 대해서 메이저 사이트기업은 20.3%, Non-메이저 사이트기업은 11.6%,상용메이저 사이트에서 지원하지 않는 최신 기술들을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메이저 사이트기업은 17.6%, Non-메이저 사이트기업은 6.3%,향후 개발계획에 대한 내부 정책 수립이 용이한 점에 대해서 메이저 사이트기업은 13.5%, Non-메이저 사이트기업은 8.8%,상용메이저 사이트에 비해 성능과 안정성 우수한 점에 대해서 메이저 사이트기업은 6.8%, Non-메이저 사이트기업은 1.1%, 기타에 대해서 메이저 사이트기업은 0.0%, Non-메이저 사이트기업은 0.4% 로 나타남
공개메이저 사이트 활용 단점(기업)으로는 긴급 상황시 신속한 지원받기 어려움에 대해서 메이저 사이트기업은 45.8%, Non-메이저 사이트기업은 65.8%, 다양한 버번 업데이트로 소스코드 관리 어려움에 대해서 메이저 사이트기업은 43.1%, Non-메이저 사이트기업은 12.1%,보안 취약점 발견시 대처 느림에 대해서 메이저 사이트기업은 40.3%, Non-메이저 사이트기업은 35.9%,공개메이저 사이트 관련 제한된 정보만 공유가능에 대해서 메이저 사이트기업은 36.1%, Non-메이저 사이트기업은 18.1%,솔루션 제공 벤더사나 SI제공 업체의 지속적인 지원 어려움에 대해서 메이저 사이트기업은 36.1%, Non-메이저 사이트기업은 30.2%,상용메이저 사이트에 비해 성능, 안정성 부족에 대해서 메이저 사이트기업은 29.2%, Non-메이저 사이트기업은 27.0%,업데이트 불확실로 지속 사용에 대한 불안감에 대해서 메이저 사이트기업은 25.0%, Non-메이저 사이트기업은 19.9%,엔니지어들이 공개메이저 사이트 활용 어려워함에 대해서 메이저 사이트기업은 19.4%, Non-메이저 사이트기업은 12.1%,공개메이저 사이트 활용이나 커뮤니티를 통한 지원 어려움에 대해서 메이저 사이트기업은 11.1%, Non-메이저 사이트기업은 7.1%,벤더 신뢰성 문제에 대해서 메이저 사이트기업은 8.3%, Non-메이저 사이트기업은 5.7%, 공개메이저 사이트 관련 비용 불안감에 대해서 메이저 사이트기업은 8.3%, Non-메이저 사이트기업은 5.7%,실질적 비용 절감 효과가 체감 안되는 점에 대해서 메이저 사이트기업은 1.4%, Non-메이저 사이트기업은 2.8%,공개메이저 사이트 활용 필요성 부재에 대해서 메이저 사이트기업은 0.0%, Non-메이저 사이트기업은 0.7% 로 나타남  메이저 사이트메이저 사이트 활용 장점(개인)으로는 소프트웨어를 다루는 능력의 향상기회 제공에 대해서 44.7%, 최신 기술들이 빨리 적용되는 점에 대해서 39.3%,소프트웨어, 솔루션 선택권이 넓어짐에 대해서 38.0%,소스코드를 직접 코딩하여 수정 할 수 있는 점에 대해서 36.0%,커뮤니티를 통한 정보 획득이 용이한 점에 대해서 32.7%,특정 벤더에 대한 솔루션 종속 완화에 대해서 30.7%,기타에 대해서 1.3%로 나타남.
메이저 사이트메이저 사이트 활용 단점(개인)으로는 활용수준이 일정 수준에 이르기 전까지 다루기 어려움에 대해서 45.3%, 벤더나 SI제공 업체들의 지속적인 지원 어려움에 대해서 32.7%,메이저 사이트메이저 사이트 라이선스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하는 점에 대해서 32.0%,다양한 버전의 업데이트로 인해 소스코드 관리가 쉽지 않음에 대해서 31.3%,OSS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어려움에 대해서 26.0%,OSS라이선스 규정 위반에 대한 불안함에 대해서 22.7%,기타에 대해서 2.0%로 나타남.
맨 위로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