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WC 2025로 본 메이저 놀이터 융합의 흐름과 오픈소스 생태계의 역할

- Open UP -

  • ‘Converge. Connect. Create(융합하라. 연결하라. 창조하라)’를 주제로 한 MWC 2025는 메이저 놀이터 기술 융합을 통해 네트워크 인프라의 자동화, 사용자 경험을 통한 개인 맞춤화 등 ICT 산업 전반에서 혁신의 방향을 제시
  • 스마트 디바이스, 통신, 클라우드, XR, 스마트 모빌리티 등 다양한 분야에서 메이저 놀이터 중심의 기술 융합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산업 간 경계를 허무는 연결이 본격화되고 있음
  • 오픈소스는 이러한 기술 융합 흐름을 뒷받침하는 생태계의 중요한 기반으로 작용

  • 메이저 놀이터 기술 융합이 통신, 클라우드, XR, 스마트 모빌리티 등 ICT 핵심 분야에서 혁신을 주도, 오픈소스는 이러한 기술 발전을 촉진하는 기반으로 작용
    • MWC 2025가 ‘Converge. Connect. Create(융합하라. 연결하라. 창조하라)’라는 테마를 중심으로 스페인 바르셀로나 Fira Gran Via에서 2025년 3월 3일부터 6일까지 4일 동안 개최
      1. 약 205개국에서 약 2,900 여개 기업이 참여하여 10만명 이상이 참석
      1. MWC(Mobile World Congress)는 세계 최대 모바일 전시회로 무선통신 모바일 분야 기술을 중심으로 시작이 되었으나 점차 메이저 놀이터, XR, IoT, 클라우드, 로봇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
        1. CES는 소비자의 관심과 니즈를 반영하는 소비자 가전 중심의 전시회이며 MWC는 5G, 6G와 같은 네트웍 관련 장비 및 기술, 이를 적용한 모바일 분야에 특화된 전시회이지만 근래에는 CES나 MWC 모두 신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제품을 전시하는 추세임
    • MWC 2025에서는 메이저 놀이터 기술이 전면에 등장하여 네트워크 인프라의 자동화, 사용자 경험을 통한 개인 맞춤형 등 ICT 전반에 걸친 혁신을 주도하였으며, 기술 융합을 촉진하는 오픈소스 생태계의 역할 확인
    • 이번 월간브리핑에서는 MWC 2025에서 선보인 산업 전반의 방향성을 분석하고자 함
    • ‘Converge’ 융합하라 : 메이저 놀이터와의 융합(메이저 놀이터+)
      1. 글로벌 기업들이 메이저 놀이터 기술을 혁신적으로 접목하고 메이저 놀이터 생태계를 확장해 나가는 비전을 선보임
        1. 화웨이는 고품질 오픈소스 메이저 놀이터 모델의 개발이 빠르게 진행되는 가운데 메이저 놀이터 애플리케이션의 더욱 새롭고 다양한 혁신을 지원하는 메이저 놀이터 솔루션을 발표
      2. 스마트 디바이스는 고도화된 온디바이스 메이저 놀이터를 활용해 사용자에게 개인화한 종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메이저 놀이터 에이전트로 진화 중
        1. 삼성전자는 AI가 글쓰기, 콘텐츠 검색, 사진 촬영, 개인화된 정보제공 등 사용자 편의성을 강조하는 모든 부분에 AI와 융합한 갤럭시 S25 시리즈를 선보였으며 도이치텔레콤은 퍼플렉시티와 협업해 만든 '마젠타 AI'를 탑재한 스마트폰을 전시
        2. 화웨이의 독립적인 기술그룹 아너(Honor)는 개인용 모바일 메이저 놀이터 에이전트 기술을 통해 캘린더 일정과 교통정보를 분석해 자동으로 작업을 수행하는 기술 공개하였고, 샤오미는 구글 제미나이를 적용한 자체 메이저 놀이터 '하이퍼 메이저 놀이터'를 선보임
      3. 국내 통신기업들도 메이저 놀이터와 통신의 융향한 기술을 선보이기 위한 전략 공개
        1. SK텔레콤은 메이저 놀이터 데이터센터의 핵심 기술과 역량 확보를 위해 글로벌 기업 슈나이더 일렉트릭, 엘리스그룹과 협력하였고, KT는 올해 1분기 안에 마이크로소프트(MS)와 메이저 놀이터 전환(AX) 인재집단 'AX 딜리버리 전문센터'를 신설하기로 했으며, LG유플러스는 구글, 아마존웹서비스(AWS)와 전방위적인 메이저 놀이터 협력을 선언
      4. 클라우드와 메이저 놀이터의 결합은 데이터 중심 사회에서 핵심 경쟁력으로 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여러 기업들이 클라우드 기반 메이저 놀이터 솔루션을 발표하며, 대규모 데이터 관리와 실시간 분석에 초점
        1. 아너는 구글 클라우드(Google Cloud)와 퀄컴 테크놀로지스(Qualcomm Technologies)와 협력해 파트너들과의 협력을 통해 GUI 기반 개인용 모바일 메이저 놀이터 에이전트 기술로 일상의 편리함을 재정의
        2. 화웨이 클라우드가 서비스를 인텔리전트 서비스로 재구성하고 컴퓨터 아키텍처, 데이터 모델 도구, 전문 서비스 등을 갖춘 최고의 플랫폼을 구축하여 메이저 놀이터 개발을 가속화하는 메이저 놀이터 네이티브로 전환
      5. 메이저 놀이터와 확장 현실(XR)의 결합으로 제공되는 기술은 게임 산업의 영역을 넘어 교육, 의료, 원격 협업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될 전망
        1. 삼성전자는 ‘프로젝트 무한(Project Moohan)’이라는 이름으로 메이저 놀이터와 확장 현실(XR)을 결합한 안드로이드 XR 헤드셋을 공개, 멀티모달 메이저 놀이터 기술을 활용하여 보다 자연스러운 대화와 같은 상호 작용을 가능하게 함
    • ‘Connect’ 연결하라 : 5G, Network
      1. 스마트 디바이스, 랜(RAN), 모바일 코어 그리고 통신사업자의 기술기업 전환(Telco to Techco) 등 네트워크와 메이저 놀이터가 융합돼 생태계 혁신과 서비스를 이끌고 있음을 강조
        1. KT가 AX(인공지능 전환)사업에 속도를 내기 위해 MS와 손잡고 이달 내에 300여 명으로 정예 조직을 구성, 고객 맞춤형 AX 사업 개발에 집중하고 '테크기업'으로 변화 선언
        2. ZTE와 차이나 모바일은 5G-A와 메이저 놀이터의 결합을 강조하며, 통신-감지-컴퓨팅-지능 (Communication-Sensing-Computing-Intelligence) 및 환경 사물인터넷 솔루션을 통해 5G 네트워크의 지능화를 촉진한다는 계획
      2. 랜(RAN)의 소프트웨어화, 개방화, 지능화를 통한 메이저 놀이터 RAN으로의 진화가 향후 네트워크의 에너지 절감 및 효율성 향상을 극대화
        1. 삼성전자는 메이저 놀이터 기반 네트워크 운영 제품군(CognitiV Network Operations Suite)을 통해 메이저 놀이터 기반 5G 네트워크 성능을 최적화하고 에너지 효율을 최대 35%까지 높이는 메이저 놀이터 에너지 절감 자동화 솔루션 기술을 선보임
        2. 에릭슨은 실시간 메이저 놀이터 기반으로 네트워크를 모니터링하여 오류 감지 및 해결책을 제시하며 생성형 메이저 놀이터를 활용해 지능형 권장 사항을 제공하는 ‘메이저 놀이터 NetCloud Assistant(ANA)를 소개하였으며 소프트뱅크와 메이저 놀이터-RAN 통합에 대한 공동 연구 및 개발 협약을 체결
        3. 화웨이는 메이저 놀이터 기반 네트워크 제어 자동화, 자율형 운영, 지능형 보안 기능을 통합한 메이저 놀이터 광역 네트워크(WAN) 솔루션을 공개
        4. 노키아는 메이저 놀이터를 활용해 RAN의 자동화 수준을 높이고, 네트워크를 최적화하는 ‘Cognitive SON(Self-Organizing Network)’ 기술을 발표했는데 이는 자율 RAN 운영을 가능하게 하는 ‘MantaRay SON’의 메이저 놀이터 기반 소프트웨어 기능임
      3. 글로벌 통신사들은 메이저 놀이터와 5G 네트워크의 결합을 통해 통신 인프라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고객 서비스와 네트워크 관리에 메이저 놀이터를 적극 활용하는 방안을 소개
        1. 퀄컴은 차세대 연결 애플리케이션과 뛰어난 메이저 놀이터 작업 수행을 위해 설계된 신규 플랫폼 '퀄컴 X85 5세대(5G) 이동통신 모뎀-RF(Qualcomm X85 5G Modem-RF)'을 공개
      4. 중국은 하드웨어 중심 전략으로 5G 기지국 장비 시장 지배력을 더욱 극대화하는 반면, 글로벌 통신업계는 오픈랜(vRAN/Cloud RAN) 기반 소프트웨어 중심의 장비 시장 전환과 다양한 밴더들의 상용화로 대응함에 따라 양 진영 간 경쟁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
      5. 메이저 놀이터와 5G의 결합은 단순히 속도와 연결성만 향상시키는 것이 아니라 통신 산업 전반 운영 방식에 근본적인 변화를 불러와 다양한 산업에서 메이저 놀이터 기반 혁신을 촉진하는 핵심 인프라로 자리잡을 전망
      6. 커넥티드 및 자율주행차를 가능하게 하는 위치 기술도 활성화되고 있음
        1. 삼성의 자회사인 하만(HARMAN)은 다양한 도로 위험 주변에서 운전자의 상황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차량 내 상황 알림을 제공하는 차량-클라우드 소프트웨어 서비스인 ‘Ready Aware’를 출시
        2. Swift Navigation은 도이치 텔레콤 및 에릭슨과 함께 운송, 물류 및 중장비 시장을 위한 에릭슨의 5G 라우터에 RTK GNSS 통합을 진행
    • ‘Create’ 창조하라 : 미래 기술
      1. 신규 주파수 기술과 지능형 네트워크 기술을 선보이며 6G 방향을 제시, 향후 표준기반 위성통신으로 네트워크 한계를 극복하고 글로벌 연결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전망
        1. 퀄컴은 메이저 놀이터를 6G 비전의 핵심으로, 트래픽, 이동성 및 간섭에 실시간으로 적응하는 네트워크를 목표로 2025년을 6G 표준화가 시작되는 중요한 해로 보고 있음
      2. KT 6G 시장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양자 암호통신 활용 보안 강화 방안 발표
        1. 6G 시대에는 메이저 놀이터, 클라우드 등으로 데이터의 사용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양자를 이용해 직접 데이터를 전달하는 기술을 통해 양자 인터넷 시대를 한 단계 앞당긴다는 계획
      3. 기술 발전 등으로 로봇 적용 분야가 확산하면서 감시·재활지원·근력증강 등 여러 활용 형태로 다양한 로봇도 출현
        1. 국내기업 에프알티로보틱스는 산업용 근력 증강 웨어러블 로봇 '스텝업'(Step up)을 출시
        2. 스페인 기업 '인로빅스'는 재활 지원 로봇 솔루션인 '인로빅스 리햅'을, '스타로보틱스'는 360도 감시 자율주행 로봇인 '워치봇 서베일런스'(Watchbot Surveillance) 출시
        3. 중국 기업 '유니트리 로보틱스'는 휴머노이드(인간형 로봇) '유니트리 G1'를 공개하였고, 아너(Honor)는 새로운 메이저 놀이터 로봇 브랜드 ‘팍시니(Paxini)’를 공개하고 반려동물 로봇과 같은 다양한 제품을 개발한다는 계획
      4. 메이저 놀이터·통신 기술 융합의 촉진제, 오픈소스
        1. 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GSMA)는 통신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메이저 놀이터 모델의 성능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새로운 커뮤니티인 ‘오픈 텔코 LLM 벤치마크(Open-Telco LLM Benchmarks)를 출범
        2. 이동통신망 운영, 고객 서비스 자동화, 네트워크 관리 등 실제 주요 업무에서 메이저 놀이터 모델이 효과적으로 작동하는지 평가하는 업계 최초의 프레임워크를 제공
        3. 이번에 공개된 벤치마크는 기존의 LLM이 통신 관련 작업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점에 착안하여 통신사의 독특한 요구 사항 및 사용 사례를 반영하도록 설계하였으며 프레임워크가 오픈소스로 제공됨
          1. 이 커뮤니티는 허깅페이스, 리눅스 재단, 칼리파 대학교 등의 기술 및 연구기관에서 지원을 받고 기업에는 SKT, LG유플러스를 비롯해 도이치 텔레콤, 투르크셀, 화웨이 등 다양한 통신 사업자가 참여
        4. 미국의 VyOS Networks는 오픈소스 네트워킹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라우팅, 방화벽, 네트워크 자동화 분야에서 오픈소스 프로젝트 VyOS가 미치는 영향과 멀티클라우드 전략과 통합을 지원
        5. ZTE와 Red Hat은 차세대 5G 코어 네트워크를 위한 메이저 놀이터 기반 자동화와 오픈소스 혁신을 추진하기 위해 공동 혁신 연구소(Joint Innovation Lab) 설립을 위한 MoU 체결
          1. 개방적이고, 안전하며, 확장 가능한 텔코 클라우드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
        6. MWC 2025에서 열린 O-RAN ALLIANCE Summit은 O-RAN의 상태에 대한 포괄적인 업데이트를 제공하고 운영 경험, 오픈 RAN 이니셔티브에 관한 견해, 주요 산업 분야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통찰력 등을 공유
          1. O-RAN Alliance(오픈랜 얼라이언스)는 무선접속네트워크(RAN, Radio Access Network)를 개방형(Open)과 표준화된 구조로 만들기 위해 전 세계 통신사들과 제조사들이 모여 만든 글로벌 표준화 협의체
          2. AT&T, Verizon, T-Mobile, 도이치텔레콤, NTT 도코모,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글로벌 통신사들과 삼성전자, 인텔, 퀄컴, NEC 등 장비/반도체 기업들이 추진
          3. 퀄컴은 5G O-RAN을 위해 퀄컴 드래곤윙 셀룰러 인프라스트럭처 플랫폼 채택 및 배포

  • 시사점
    • MWC 2025에서 본 기술 트랜드는 단순히 발전된 기술의 적용을 넘어 산업 간 경계를 허물고 새로운 복합 산업 구조를 형성하는 방향으로 확장
    • 향후 산업 전반에서 메이저 놀이터 기술 중심의 융합이 본격화되면서, 오픈소스 생태계는 이러한 기술 융합을 가능케 하는 기반으로서 산업 간 협력과 기술 통합을 이끄는 촉매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

  • 주목할 만한 월간 이슈(3월)
    • (메이저 놀이터) 국내 기업들 오픈소스 전략 동참, 카카오, LG 메이저 놀이터연구원 등 메이저 놀이터 모델 오픈소스 공개
      1. 올해 1월 딥시크가 추론 모델인 R1을 오픈소스로 공개한 이후 시장에 다양한 오픈소스 메이저 놀이터 모델이 등장 중이며 국내 기업들도 자체 메이저 놀이터 모델을 오픈소스로 공개
      2. 특히, 외부 서버와의 연결 없이 기기 내부에서 안전하게 데이터를 처리해 보안성과 개인정보 보호 측면에서 강점이 있는 온디바이스(On-device) 모델들도 출시
        1. 온디바이스 모델의 경우 스마트폰과 자동차, 로봇 등 다양한 산업에서 온디바이스 모델이 빠르게 확산될 것으로 전망
      3. 카카오는 자체 개발 언어모델 ‘카나나(Kanana)’의 연구성과를 담은 ‘Kanana 테크니컬 리포트’를 공개하고 ‘카나나 나노 2.1B’ 모델을 오픈소스로 공개
        1. 메이저 놀이터 논문인 테크니컬 리포트를 통해 카나나 언어모델 전체의 사전학습부터 사후학습까지 전 과정 확인 가능
          1. 매개변수와 학습 방법, 학습 데이터 등 세부 사항 및 카나나 모델의 구조, 학습 전략, 그리고 글로벌 벤치마크에서의 성과도 확인 가능
        2. ‘카나나 나노 2.1B’는 연구자와 개발자가 활용하기 적절한 크기의 모델이자 온디바이스환경에서도 활용 가능한 고성능의 경량 모델로 한국어와 영어 처리 능력에서 뛰어난 결과를 보임
          1. ‘카나나 나노 2.1B’의 베이스 모델과, 인스트럭트 모델, 임베딩 모델를 제공, 허깅페이스에서 확인 가능
        3. 오픈소스 공개를 통해 메이저 놀이터 기술의 접근성을 높여 연구자와 개발자들이 해당 모델을 토대로 다양한 응용을 시도할 수 있도록 모델의 업데이트를 지속 지원할 계획
      4. LG 메이저 놀이터연구원은 추론 메이저 놀이터 모델 ‘엑사원 딥(EXAONE Deep)’을 오픈소스로 공개
        1. ‘엑사원 딥-32B’와 함께 개발한 경량 모델 ‘엑사원 딥-7.8B’, 온디바이스 모델 ‘엑사원 딥-2.4B’도 오픈소스로 공개
        2. 글로벌 오픈소스 메이저 놀이터 플랫폼 허깅 페이스(Hugging Face)에 ‘엑사원 딥’의 논리적 사고력과 문제해결 능력을 평가하는 다양한 성능 평가 결과 공개
          1. 한국어에 강점이 있는 엑사원 파운데이션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엑사원 딥-32B’는 수학 문제 해결 능력을 평가하는 지표인 수학(MATH)-500은 95.7점을 기록하며 복잡한 수학 문제와 과학 문제 해결 능력에서 우수성을 입증
          2. 또한, 미국의 비영리 메이저 놀이터 연구기관인 에포크(Epoch) 메이저 놀이터가 선정하는 주목할 만한 메이저 놀이터 모델(Notable 메이저 놀이터 Models) 리스트에 등재, 기술 경쟁력을 인정받음
          3. 경량 모델은 32B의 24% 크기임에도 성능을 95%까지 유지하며, 온디바이스 모델은 7.5% 규모임에도 성능이 86%에 달해 높은 경제성과 실용성을 동시에 갖추었다고 설명
    • (클라우드) 오픈스택, 리눅스 재단 가입으로 메이저 놀이터 시대 대비 협업 가속화
      1. 2012년부터 10년 이상 독립적인 오픈소스 재단으로 운영되어 온 오픈인프라와 오픈스택 프로젝트가 리눅스 재단에 가입, 메이저 놀이터 시대에 대비하여 오픈 인프라 생태계 전반에 걸친 협업 강화
        1. 15년 전, 랙스페이스와 NASA는 오픈소스 오픈스택 프로젝트를 만들었으며, 2012년에 오픈스택 재단이 만들어졌고 2020년에 오픈 인프라(OpenInfra) 재단으로 이름을 변경
        2. 리눅스 재단은 오픈스택에 도움이 될 법률 및 규제, 옹호 기능에 투자했으며, 오픈인프라 재단은 오픈스택이 통상 CNCF 기술과 함께 배포되기 때문에 커뮤니티 차원에서는 이미 공동 이벤트를 진행해옴
      2. 오픈스택의 리눅스 재단 가입은 메이저 놀이터가 부상하고 가속 컴퓨팅을 위해 구축되는 인프라에 대한 대규모 투자가 진행될 것이며 오픈스택이 이미 추론 작업뿐만 아니라 메이저 놀이터 훈련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어 메이저 놀이터 인프라에 대한 관심 증가가 영향을 미침
      3. 리눅스 재단 안의 또 다른 재단이 되어 예산, 거버넌스, 커뮤니티 참여 등이 유지되어 기업 회원과 기여자의 관점에서 볼 때 거의 변화가 없을 것으로 예상
    • (로봇) 엔비디아, 대규모 물리 메이저 놀이터 데이터세트 오픈소스로 공개
      1. 엔비디아가 GTC 2025에서 차세대 물리 메이저 놀이터 개발을 돕는 대규모 오픈소스 데이터세트를 공개
      2. 현재, 초기 데이터세트는 허깅 페이스에서 제공되며, 개발자에게 로보틱스 교육을 위한 32만 개 이상의 경로를 나타내는 15TB 규모의 데이터와 심레디 콜렉션을 포함한 최대 1,000개의 오픈USD 에셋을 제공
        1. 오픈USD(Universal Scene Description, OpenUSD) : 대규모 메이저 놀이터 지원 가상 세계를 위한 자산과 환경을 만들거나 이를 가능하게 하는 도구를 구축하는 등 워크플로우, 팀, 프로젝트를 가속화하는 기본 도구와 기능을 포괄함
        2. 엔드 투 엔드 자율주행차량(AV) 개발을 지원하는 전용 데이터도 곧 제공될 예정
        3.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UCB)의 버클리 딥드라이브 센터, 카네기멜론대학교(CMU)의 세이프메이저 놀이터 연구소(Safe 메이저 놀이터 Lab), 캘리포니아대학교 샌디에이고(UCSD)의 컨텍스츄얼 로보틱스 연구소 등이 이를 조기 채택
        4. Physical 메이저 놀이터 개발자를 위한 초기 데이터세트 : 허깅 페이스 링크
      3. 데이터세트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속적으로 확장돼 물리 메이저 놀이터 개발을 위한 세계 최대의 통합 개방형 데이터세트가 될 것이며, 다양한 로봇을 구동하는 인공지능 모델 개발에 적용 가능
        1. 엔비디아 물리 메이저 놀이터 데이터세트에는 엔비디아가 자사 플랫폼과 프레임워크 등에서 물리 메이저 놀이터를 교육, 테스트, 검증하는 데 사용하는 실제 데이터와 합성 데이터의 하위 세트를 포함할 예정

※ 참고 Reference

Creative Commons LicenseOpen UP에 의해 작성된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
2025
공개SW 가이드/보고서 -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수, 작성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수 작성
공지 [2025년] 기업 오픈소스SW 거버넌스 가이드 개정판 file support 1047 2025-02-28
공지 [2025년] 공공 오픈소스SW 거버넌스 가이드 개정판 file support 924 2025-02-28
공지 [2025년] 오픈소스SW 라이선스 가이드 개정판 file support 1012 2025-02-28
공지 공개 소프트웨어 연구개발(R&D) 실무 가이드라인 배포 file support 29980 2022-07-28
공지 공개소프트웨어 연구개발 수행 가이드라인 file OSS 27455 2018-04-26
524 [3월 월간브리핑] MWC 2025로 본 검증 사이트 추천 융합의 흐름과 오픈소스 생태계의 역할 support 368 2025-03-25
523 [기획기사] 기업의 데이터 보안과 맞춤형 메이저 놀이터 전략, 오픈소스 기반 프라이빗 메이저 놀이터의 부상 support 270 2025-03-25
522 [2월 월간브리핑] 딥시크 보안 이슈에 대한 국내·외 대응 현황 support 549 2025-02-25
521 [기획기사]딥시크가 연 오픈소스 혁명, 메이저 놀이터 시장의 새 바람 support 590 2025-02-25
520 [기획브리핑] 생성형 메이저 놀이터와 오픈소스 : 주요 모델의 OS메이저 놀이터D 1.0 기준 분석 support 1980 2025-02-24
519 [기획기사]"메이저 놀이터에 오픈소스까지"...CES 2025가 보여준 미래 기술의 향방 support 1627 2025-01-27
518 [1월 월간브리핑] 오픈소스 메이저 놀이터 혁신의 영향 : 메이저 놀이터, 생성형 메이저 놀이터의 현재와 미래 support 1064 2025-01-27
517 [기고] 사이버복원력법(CRA)이 가져온 SBOM 의무화 : 기업의 선제적 대응 필요 support 1032 2025-01-27
516 [12월 월간브리핑] 메이저 놀이터 시대의 오픈소스 개발자 생태계: GitHub Octoverse 2024 분석 support 2310 2024-12-16
515 NIPA-현대차, 오픈소스 테크맵 구축으로 자동차 소프트웨어 혁신 강화 support 733 2024-12-16
맨 위로
맨 위로